메뉴 건너뛰기

예수그리스도의 부활의 메시지는 기독교회의 심장과 같다. 심장의 박동이 활기찬 교회는 교회 안에 있는 사람은 물론 교회 밖의 사람들에게 창조적인 영향을 미친다.
만약 기독교회에서 부활의 메시지를 빼어버린다면 회색빛의 창백한 이론으로 전락할 것이다. 기독교는 그 초기부터 십자가의 고난과 빈 무덤으로 표현되는 부활의 메시지에 기초하였다. 역사이래 수많은 이론과 철학이 교회의 부활메시지를 훼손하여 하였으나 그 모든 시도는 불발탄으로 끝나고 말았다. 심지어 기독교의 부활을 정면 부정한 공산주의조차 그 표면적 생명이 70년 동안만 유지되었을 뿐이다. 많은 나라가 제도적으로 부활신앙을 차단하려 하였으나 그 모든 음습한 음모는 백일하에 드러나 수치를 당했을 뿐이다.

모든 이론의 마지막은 무덤이었다. 그러나 기독교는 새로운 부활로부터 출발한다.
부활신앙(復活信仰)은 창조신앙(創造信仰), 구속신앙(救贖信仰), 그리고 재림신앙(再臨信仰)과 더불어 믿는 자들의 영혼을 윤택하게 하고 희망을 선물한다. 창조신앙을 통하여 한사람의 가치가 얼마나 소중한가 하는 것을 절감한다.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찰스 타운스 박사는 “생명의 탄생은 초월적 설계자에 의하여 가능하다”는 지적설계론(intelligent design)을 주장하였다. 어차피 기독교인들이야 창조론을 신뢰하지만, 그 나머지 많은 사람들은 진화론의 가설을 삶의 중심 체계로 수용하든지 아니면 불가지론자로 남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사람이 하나님의 창조와 연결되어 있을 때 자기가치를 발견하기 쉽다는 것이다. 많은 허무주의자들의 가슴속은 텅 비어 있기 마련이다.
기독교인들의 또 하나의 믿음의 체계를 제공하는 구속신앙은 “왜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야만 하였는가?”는 질문과 맞닿아 있다.

예수님께서는 친히 이 땅에 오신 목적을 밝히 드러내어 말씀하셨다.
“인자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가복음 10:45)”여기서 인자(人子)라는 의미는 메시야 곧 구원자로 오신 예수님 자신을 지칭하는 말이다. 예수님께서는 사람구원을 위하여 친히 지구촌에 임하셨다.
하늘의 영광에 머물기보다 사람을 존중하시는 모습 속에서 사람은 비로소 삶의 안전지대를 발견할 수 있다. 자기의 구원을 확신하는 사람들은 타인의 행복과 삶의 가치에도 관심을 가지게 마련이다. 어찌 자기에게 임한 구원을 독점하려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선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 만약 예수님께서 사망 곧 죽음에게 점령당한 채로 백기를 들었다면 그는 결코 전능하신 메시야는 아닐 것이다. 역사 이래로 죽음의 권능을 깨뜨리고 사망의 목을 밟은 존재는 그 전에도 후에도 없었다. 죽음은 인간의 마지막 행로가 아니다. 사람이 부활신앙을 소유할 때 죽음 저 너머에 있는 세계를 희망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존재로 굳게 설 수 있다.

원래 인간은 창조될 때 죽음의 세력에 종속된 존재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많은 사람들이 죽음의 현상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만, 원래 죽음은 사람의 친구가 아니라 적이었다. 그런데 그리스도의 부활의 은총을 깨달은 사람에게는 죽음조차도 변장된 축복의 과정으로 수용할 수 있는 여유와 믿음을 가지게 된다. 지금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허무의 늪에서 신음하며 죽음을 꿈꾸는가? 예수그리스도께서만이 부활의 능력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폭군으로 군림하던 사망의 정체를 드러내고 무장해제 시켜 주셨다. 예수님 편에 서는 사람은 죽음에 대한 동일한 승리를 삶의 현장에서 체험한다.

기독교인은 부활하신 예수그리스도께서 다시 이 땅에 임하시리라는 확신을 품고 산다.
바로 재림신앙이다. 예수님께서 그를 따르는 제자들에게 분명히 약속하셨다.
“내가 너희를 위하여 처소를 예비하러 가노니 가서 너희를 위하여 처소를 예비하면 내가 다시 와서 너희를 내게로 영접하여 나 있는 곳에 너희도 있게 하리라(요한복음 14:3,4)”
예수그리스도의 재림신앙을 가진 사람은 이 땅에서의 그의 삶을 결코 가볍게 살지 아니한다.
미래지향적이며 목적 지향적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가는 곳마다 생산적인 삶을 확대재생산한다.
이웃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사람의 눈치에 따라 살지 아니하고 영원한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살기에 어느 순간, 어느 곳에서나 당당하고 떳떳하게 살 수 있다.
사람은 그 믿음에 따라 열매를 맺기 마련이다. 무질서가 가슴에 자리잡고 있으면 혼란스런 삶을 살 것이고, 분명한 인생의 소명을 품고 살면 그 삶이 반듯하게 나타날 것이다.

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계절에 부활절이 들어 있다는 사실은 매우 상징적이기도 하다.
생명의 약동은 부활의 소망을 가시적으로 보여 준다. 우리가 계절의 변화를 통한 교훈을 외면하지 않듯, 안목의 변화(Paradigm Shift)를 통한 삶의 변화를 꿈꿀 수 있다.
부활의 영광이 모든 이들에게 삶의 은총과 행복으로 임하기를 소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