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

인터넷 게임 절제력, 강력한 실력이다!③

권장희 소장(놀이미디어교육센터)



임파워먼트 절제력의 두 번째 단계는 실행단계로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다. 약속이 분명해도 아이들은 약속을 잘 지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벌칙, 곧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훈련시켜야 한다. 약속된 시간이 지나도 아이가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앞에서 일어나지 못하거나, 켜지 않기로 약속한 날 컴퓨터 앞에 앉아 있을 때는 컴퓨터 앞에서 자녀와 싸워야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약속을 정했는데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면 그에 상응하는 값을 지불하도록 해야 임파워먼트 절제력을 키울 수 있다.

약속을 지키지 못했을 때 책임을 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벌칙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경험적으로 볼 때 그중에서도 제일 좋은 방법은 절제하지 못한 미디어 기기 사용을 금지하는 ‘미디어 금식’을 시행하는 것이다. 텔레비전 시청 약속을 못 지키면 텔레비전 금식, 컴퓨터는 컴퓨터 금식, 닌텐도는 닌텐도 금식을 일정기간 하게 하는 것이다.

벌칙기간에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한 아이는 약간 긴장하기는 하겠지만, 다음에도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는 또 발생할 것이다. 한두 번으로 습관이 바뀌는 것이 아니다. 이때에도 자녀의 잘못을 추궁하며 갈등을 조장하는 대신에 벌칙 기간을 두 배로 늘려 시행하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다. 이를테면, 지난번에 한 주간 미디어 금식을 했다면, 이번에는 두 주간 동안 연속적으로 미디어 금식을 하는 것이다.

실제로 강의를 듣고 벌칙을 실행한 한 어머니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5학년 아들이 두 번 약속을 어겨서 두 주 연속 컴퓨터 금식을 시켰어요. 그랬더니 세 번째 주에 컴퓨터를 켜놓고 엄마를 부르더군요. 그래서 아이에게 가보니 컴퓨터를 부팅할 때부터 시간을 재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부팅 끝내 놓고 자기가 해야 할 게임에 로그인까지 해 놓고 나서 엄마를 불렀더군요. 그 시간동안은 약속시간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고, 바로 지금부터 한 시간 게임 하는 것임을 분명히 하자고 하기 위해 부른 것이었어요.”

이 아이는 지금 컴퓨터를 켠 순간 끝내야 할 시간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 부모가 약속을 지키라고 잔소리하는 것으로 아이들이 약속을 지키는 것이 아니다. 권위를 갖고 벌칙을 적용하면 자녀는 약속에 민감해지고 스스로 약속시간이 되면 컴퓨터를 끄게 되어 있다.

가정에서 텔레비전을 켤 때에도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가 “엄마, 나 텔레비전 좀 볼게요.” 이렇게 말하면 아이는 엄마가 그만 끄라고 소리를 지를 때까지 앉아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날 것이다. 리모컨 버튼만 누르면 재미있는 것이 끝없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아이 입장에서는 좀 전에는 TV를 보라고 허락해 놓고, 이제 와서 끄지 않는다고 소리를 지르는 엄마를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텔레비전을 볼 때도 책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말하도록 해보자.
“엄마, 지금 ○○방송에서 ○○프로그램 하고 있는데 그것만 볼게요.”
절제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미디어를 켤 때에는 부모의 동의 아래 켜게 하고, 끌 때에는 스스로 끄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반대로 ‘켤 때는 제멋대로, 끌 때는 엄마가 소리를 질러야!’이렇게 하고 있지 않은지 우리 가정을 돌아보자.


번호 제목 날짜
35 [해외스케치] 흘러넘치는 생수, 아과비바 - 손은진 사모(상파울로 아과비바교회) file 2016.10.25
34 [역사 여성] 금싸라기 선교사, 도자인 - 박창훈 교수(서울신학대학교) file 2016.11.15
33 [특집] 감사의 표현 속에 감추인 보물 - 장경철 교수(서울여자대학교) file 2016.12.06
32 [특집]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운 사모의 성품 -전영혜 사모(대광교회) file 2016.12.12
31 [원로의 목회서신] 말하는 벙어리 - 박희천목사 (내수동교회원로) file 2016.12.19
30 [교회사] 직분관의 변질과 교황제도의 발전- 이상규 교수 file 2017.01.23
29 [특집] 마당에서 취미생활 좀 하고 오겠습니다 - 김창선 사모 file 2017.02.28
28 [사모의 발자취] 주님께서 아시기에 -최영심 사모 (예수비전교회) file 2017.03.20
27 [역사 여성]여성운동가 백신영 전도사-박창훈교수(서울신학대학교) file 2018.01.19
26 [교회사]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와 교리적 변질 - 이상규 교수 file 2018.08.07
25 [목사가 쓰는 사모이야기] 하프타임에 더 좋은 나의 친구 - 박춘근 목사 (남부전원교회) file 2018.09.17
24 [독후감] 나를 향한 하나님의 타이밍 - 박미자 사모 (구항교회) file 2019.02.21
23 [역사 속의 여성] 세상을 밝힌 신여성 하란사(Ha Nancy) - 박창훈교수(서울신학대학교) file 2019.05.23
22 [특집] 성경에 등장하는 어머니 이야기 - 홍창민 목사(전주드림교회 담임) file 2019.06.26
21 [특집] 사모를 아름답게 하는 절제 - 이시화 사모(대영교회) 2019.08.02
20 [특집] 말씀으로 훈련되는 사모 - 박희석 목사(광주사랑의교회) 2019.09.26
19 [특집] 큰 핍박, 큰 울음, 큰 기쁨 - 송태근 목사(삼일교회) 2019.11.06
18 [원로의 목회 서신] 사랑에 빚진 자 - 김영태 목사(청북교회 원로) 2019.12.18
17 [교회사] 중세 후기 교황권의 문제 - 이상규 교수(고신대학교 신학과) 2020.04.29
16 [역사 속의 여성] 교회 설립의 사명자, 홍대실 권사 - 박창훈 교수 (서울신학대학교) 2020.06.03